본문 바로가기
경영 전략 사례

소셜벤처 지역 문제를 바꾸다

by sturdythought 2025. 4. 8.
반응형

소셜벤처는 이제 단순한 사회적 실험이 아니라, 지속 가능성과 수익성을 겸비한 ‘진짜 비즈니스’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5년간 지역 사회 문제를 비즈니스 모델로 해결하고, 그 지역에 실질적인 변화를 일으킨 소셜벤처들이 전국 각지에서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청년 일자리 창출, 고령화 대응, 지역 소멸 방지, 장애인 자립, 마을 경제 회복 등 지역 고유의 문제를 발굴하고, 창의적인 솔루션으로 수익과 임팩트를 동시에 창출하며 성장해 왔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난 5년간 실제 시장에서 성과를 낸 지역 기반 소셜벤처 3곳을 소개하고, 이들이 어떻게 비즈니스를 통해 지역 사회의 지속 가능성을 만들어갔는지 전략적으로 분석합니다.

청년 귀촌 문제를 해결한 지역 소셜벤처, 위캔캠프

위캔캠프’는 강원도 인제에서 시작된 청년 주도형 로컬 소셜벤처로, 귀촌과 지역 정착을 희망하는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지역 체류형 일·삶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2020년부터 ‘로컬 라이프 체험 캠프’, ‘창업 트랙’, ‘직업 전환 트레이닝’ 등을 운영하며, 단순한 체험이 아닌 장기 체류 → 직업 연계 → 지역 정착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모델을 구축했습니다.

위캔캠프는 지역 자원(폐가, 빈 상가, 농가 체험지)을 리모델링해 청년 창업 공간으로 활용하고, 로컬 크리에이터 교육·청년 창업자 매칭·소셜임팩트 투자 연계까지 진행하며 ‘지역 정착형 청년 창업 생태계’를 구축했습니다.

2023년 기준 누적 체류자 1,200명 이상, 창업/정착률 37%, 지역 내 일자리 연계 150건을 기록하며, 강원도형 소셜벤처 모델로 전국 확장 가능성도 인정받고 있습니다.

디지털 일자리를 만든 소셜벤처, 브이드림의 전략

브이드림(V-Dream)은 발달장애인을 위한 비대면 직무 창출에 집중한 IT 기반 소셜벤처입니다. 특히 수도권이 아닌 전북 익산에서 본사를 운영하며, 지역 기반 장애인 고용 생태계 구축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브이드림은 시각자료 번역, 이미지 작업, AI 학습용 데이터 가공 등 정형화된 온라인 업무를 발달장애인 맞춤 교육과 연결하고, 이들이 원격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디지털 직무 플랫폼을 구축했습니다.

특히 1:1 멘토링, 디지털 협업 툴, UI 보조 기능 등을 도입해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먼저 설계했고, 사회복지관·지역센터·특수학교와 연계한 일자리 연계 훈련 프로그램까지 포함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누적 고용 창출 250명, 근속률 85% 이상, 재계약율 90% 이상을 기록하고 있으며, 장애인 일자리 문제에 IT로 접근한 지역형 ‘디지털 임팩트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시골 폐교를 공유 자산으로 바꾼 소셜벤처, 마을무지개

전라남도 구례에서 활동 중인 마을무지개는 폐교된 초등학교를 리모델링해 시니어 중심 마을 커뮤니티 플랫폼으로 운영하고 있는 소셜벤처입니다.

이곳에서는 고령 주민들을 위한 건강 운동 교실, 로컬 식문화 아카데미, 마을 농산물 브랜딩 클래스 등 다양한 활동이 진행되며, 주민 참여형 카페와 직거래 장터 운영까지 수익화 모델을 접목하고 있습니다.

마을무지개는 ‘농촌의 자산은 사람과 공간’이라는 철학 아래, 기존 공공 인프라의 재생과 고령자 중심 커뮤니티 운영이라는 점에서 주목받습니다. 특히 고령 주민이 단순 수혜자가 아닌 운영자이자 콘텐츠 기획자로 활동하도록 설계한 점이 차별화됩니다.

현재는 전라남도 내 3개 지역에 추가 거점 조성 중이며, 커뮤니티 기반 마을 비즈니스의 성공 모델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소셜벤처, 지역 문제 해결의 실험장이 되다

위캔캠프, 브이드림, 마을무지개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지역 사회의 문제를 비즈니스로 해결해 낸 소셜벤처들입니다. 이들은 단순 지원에 그치지 않고, ‘정착 가능성’ ‘지속 가능성’ ‘참여 구조’를 갖춘 전략으로 각자의 지역에 실제 변화를 만들어냈습니다.

지역 소셜벤처의 진정한 가치는 “어디서 만들었는가”보다 “누구를 위한 해결책인가”에 있습니다. 서울이나 수도권 중심의 모델이 아닌, 각 지역의 특성과 문제에 맞춘 맞춤형 전략이 성공의 핵심입니다.

앞으로 더 많은 지역에서 이런 소셜벤처가 등장한다면, 지역은 더 이상 ‘소멸 위험지’가 아니라 ‘기회의 실험장’이 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아이디어 역시 지금, 지역 사회에서 새로운 변화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소셜벤처 관련 이미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