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전환이 본격화되면서 기업의 고객 서비스 전략에도 큰 변화가 찾아왔습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비대면 서비스 수요가 폭증하면서, 고객 응대 자동화를 위한 챗봇 및 AI 기술이 빠르게 보급되었습니다.
과거 단순 문의 응답 수준에 머물렀던 챗봇은 이제 고도화된 자연어처리(NLP), 딥러닝 기반 추천 시스템, 음성 인식 기술 등을 결합해 ‘지능형 고객 경험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난 5년간 국내외 시장에서 실제 성과를 낸 대표 챗봇/AI 기업 3곳을 선정해, 그들의 기술 전략과 운영 성과를 분석합니다.
1. AI 고객응대 혁신 – 마인즈랩의 콜센터 자동화
마인즈랩은 국내 AI 고객 서비스 자동화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 스택을 보유한 스타트업입니다. 자체 개발한 통합 AI 플랫폼 ‘마음 AI’를 통해 음성 인식(STT), 음성 합성(TTS), 자연어 처리(NLU), 챗봇 시나리오 설계 등 고객 상담에 필요한 모든 요소를 통합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마인즈랩은 “AI 콜센터 구축”이라는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KT, 롯데카드, 교보생명 등 대형 기업의 콜센터 시스템에 적용되어, 단순 문의의 80% 이상을 자동화하는 데 성공했으며, 연간 상담 비용을 수십억 원 절감하는 성과를 만들어냈습니다.
최근에는 금융권과 의료기관으로 고객을 확대하고 있으며, ‘AI 상담사’와 ‘실시간 감정 분석 기능’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상담 솔루션도 출시해 주목받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 누적 AI 상담 건수는 3억 건 이상이며, 기업 전용 AI 챗봇 구축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2. 자동화 마케팅 – 채널톡의 고객 전환 전략
채널코퍼레이션이 운영하는 ‘채널톡’은 중소형 기업을 위한 고객 대화형 솔루션으로, 챗봇·CRM·마케팅 자동화를 한데 묶은 SaaS 기반 제품입니다. 웹사이트, 쇼핑몰, 앱에 설치만 하면 바로 실시간 채팅, 챗봇, DM 마케팅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 디지털 전환 초기 기업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채널톡의 핵심 강점은 “실시간 상담과 자동화된 고객 전환 마케팅을 통합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방문자의 행동 패턴, 구매 이력, 클릭 로그 등을 실시간 분석해, 개인화된 자동 응대와 리마케팅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습니다. 챗봇 시나리오도 사용자가 직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설계할 수 있어, 비개발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UX를 갖췄습니다.
현재까지 3만 개 이상의 국내외 기업이 채널톡을 사용 중이며, 2022년 일본, 대만 등 아시아 시장 진출에도 성공했습니다. 쇼핑몰, 교육, 헬스케어, IT SaaS 등 다양한 업종에서 도입되어, 마케팅 자동화와 고객 상담 비용 절감 효과를 동시에 보여주고 있습니다.
3. 옴니채널 솔루션 사례 – 코어에이아이의 글로벌 확장
미국 실리콘밸리 기반의 코어에이아이(Core.ai)는 B2B 고객 응대 자동화 솔루션 분야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한 기업 중 하나입니다. 특히 “AI 기반 옴니채널 고객 컨택센터” 구축을 표방하며, 챗봇, 보이스봇, FAQ 자동화, 고객 여정 분석, 감정 인식 시스템까지 통합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코어에이아이의 기술은 이미 HSBC, CVS Health, AT&T 등 글로벌 대기업의 고객 서비스 프로세스에 적용되어 있으며, 24시간 운영되는 디지털 상담사를 통해 고객 응대 만족도 향상 및 운영비 절감 효과를 동시에 달성하고 있습니다.
이들의 핵심 차별점은 ‘사전 훈련된 챗봇 시나리오’ 라이브러리를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은행, 보험, 병원, 유통 등 산업별로 300개 이상의 시나리오가 미리 설계되어 있어, 구축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고, 정교한 NLP 학습 모델을 통해 90% 이상의 정확도를 보장합니다.
코어에이아이는 2023년 포레스터 웨이브(Forrester Wave) AI 챗봇 분야에서 리더 그룹으로 선정되었으며, 연간 매출 2억 달러 이상, 글로벌 Fortune 500 대상 점유율 20% 이상을 기록 중입니다.
결론: 비대면 고객 서비스는 이제 ‘AI 고객 경험’ 시대
마인즈랩, 채널톡, 코어에이아이의 사례를 통해 알 수 있듯, 고객 응대 자동화는 단순한 ‘문의 대응’ 단계를 넘어, 브랜드 경험 전체를 설계하는 전략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고객의 질문에 정확히 답하고, 문제를 신속히 해결하며, 데이터 기반으로 다음 액션을 유도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 과정에서 챗봇과 AI는 반복적인 업무를 줄이고, 더 정교한 고객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도구로 작용하게 됩니다.
앞으로 챗봇·AI 기반 고객 서비스는 더욱 개인화되고, 감성 인식까지 가능한 형태로 진화할 것입니다. 비즈니스에서 고객과의 접점이 경쟁력이 되는 지금, 당신의 기업에도 ‘AI 고객 경험 전략’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경영 전략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D2C 전환 성공 사례 3선 (0) | 2025.04.13 |
---|---|
스마트팜 혁신 이끄는 애그테크 스타트업 (0) | 2025.04.13 |
펫테크 선도 스타트업 3곳의 성장 전략 (0) | 2025.04.12 |
OTT 진출로 콘텐츠 파워를 확대한 전통 기업 사례 분석 (0) | 2025.04.11 |
제로웨이스트 브랜드, 지속가능성으로 성장한 스타트업 사례 (0) | 2025.04.11 |